맨위로가기

12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2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은 2010년 10월부터 2011년 1월까지 중국 베이징, 대한민국 부산,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되었다. 대한민국이 7승 3패로 우승을 차지했으며, 중국이 준우승, 일본이 3위를 기록했다. 대회에는 한국, 중국, 일본의 대표 기사들이 참가했으며, 각국 기사들의 대국 결과에 따라 승패가 결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바둑 - 2010년 아시안 게임 바둑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바둑 종목은 남자 단체전, 여자 단체전, 혼성 페어전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금메달 3개와 동메달 1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고, 특히 남자 단체전과 여자 단체전, 혼성 페어전에서는 이슬아와 박정환 조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10년 바둑 - 29기 KBS 바둑왕전
    29기 KBS 바둑왕전은 2010년에 개최되었으며, 박정환 九단이 백홍석 七단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은 한국, 중국, 일본 3개국이 연승 방식으로 대결하는 바둑 대회이며, 우승 상금 5억원과 연승 상금이 주어지고, 대한민국이 가장 많은 우승을 차지했다.
  •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 10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10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은 2008년 9월부터 2009년 2월까지 한중일 순회로 열린 바둑 대회로, 한국이 우승, 중국이 준우승, 일본이 3위를 기록했다.
12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대회 정보
대회 명칭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주최농심그룹
주관한국기원
후원농심
특징국가 대항전 (연승전)
우승 상금2억원
참가국대한민국, 중국, 일본
제12회 농심배
기간2010년 10월 20일 ~ 2011년 2월 23일
우승대한민국
결과대한민국 5승, 중국 4승, 일본 3승
최종 국면최철한 9단 승 vs 셰허 7단 패
MVP셰허 7단 (4연승)
각국 출전 선수
대한민국이창호, 최철한, 박정환, 이세돌, 김지석
중국창하오, 쿵제, 셰허, 구리, 류싱
일본하네 나오키, 야마시타 케이고, 다카오 신지, 유키 사토시, 이치리키 료
대국 결과
1차전1국: 장쉬 vs 김지석 - 김지석 승
2국: 김지석 vs 하네 나오키 - 김지석 승
3국: 김지석 vs 셰허 - 셰허
4국: 셰허 vs 이세돌 - 셰허
2차전5국: 셰허 vs 다카오 신지 - 셰허
6국: 셰허 vs 박정환 - 셰허
7국: 셰허 vs 유키 사토시 - 구리 승
8국: 구리 vs 이창호 - 구리 승
9국: 구리 vs 최철한 - 최철한
3차전10국: 최철한 vs 류싱 - 최철한
11국: 최철한 vs 창하오 - 최철한
12국: 최철한 vs 야마시타 케이고 - 최철한
13국: 최철한 vs 셰허 - 최철한

2. 대회 일정

wikitext

구분일정장소
1차전2010년 10월 18일 ~ 21일중국 베이징시 한국문화원
2차전2010년 11월 29일 ~ 12월 4일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농심호텔
3차전2011년 1월 18일 ~ 20일중국 상하이시 한국문화원


2. 1. 상세 일정

구분일정장소
개막식2010년 10월 18일중국 베이징시 한국문화원
1차전2010년 10월 18일 ~ 2010년 10월 21일중국 베이징시 한국문화원
2차전2010년 11월 29일 ~ 2010년 12월 4일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농심호텔
3차전2011년 1월 18일 ~ 2011년 1월 20일중국 상하이시 한국문화원
시상식 및 폐막식2011년 1월 20일중국 상하이시 한국문화원


3. 참가 기사


3. 1. 팀 구성


4. 대국 결과

대국대국일자차전장소승자패자결과
12010년 10월 18일1차전중국 베이징 한국문화원이세돌 九단왕시 九단235수 흑 불계승
22010년 10월 19일이세돌 九단이야마 유타 九단199수 흑 불계승
32010년 10월 20일셰허 七단이세돌 九단189수 흑 불계승
42010년 10월 21일셰허 七단사카이 히데유키 八단167수 흑 불계승
52010년 11월 29일2차전부산 농심호텔셰허 七단박승화 四단125수 흑 불계승
62010년 11월 30일셰허 七단하네 나오키 九단178수 백 불계승
72010년 12월 1일셰허 七단목진석 九단198수 백 불계승
82010년 12월 2일다카오 신지 九단목진석 九단188수 백 불계승
92010년 12월 3일다카오 신지 九단퉈자시 三단200수 백 불계승
102010년 12월 4일최철한 九단다카오 신지 九단263수 흑 1집반승
112011년 1월 18일3차전중국 상하이 한국문화원저우루이양 五단최철한 九단214수 백 불계승
122011년 1월 19일저우루이양 五단유키 사토시 九단145수 흑 불계승
132011년 1월 20일쿵제 九단저우루이양 五단176수 백 불계승



1차전은 2010년 10월 18일부터 21일까지 중국 베이징 한국문화원에서, 2차전은 11월 29일부터 12월 4일까지 부산 농심호텔에서, 3차전은 2011년 1월 18일부터 20일까지 중국 상하이 한국문화원에서 진행되었다.

최종 결과, 대한민국이 7승 3패로 우승(10회)을 차지했고, 중국은 4승 5패로 준우승, 일본은 2승 5패로 3위를 기록했다. 대한민국의 이창호 9단은 출전하지 않았다.

4. 1. 1차전 (베이징)

2010년 10월 18일부터 10월 21일까지 중국 베이징 한국문화원에서 1차전이 열렸다.

대국대국일자승자패자결과
12010년 10월 18일이세돌 九단왕시 九단235수 흑 불계승
22010년 10월 19일이세돌 九단이야마 유타 九단199수 흑 불계승
32010년 10월 20일셰허 七단이세돌 九단189수 흑 불계승
42010년 10월 21일셰허 七단사카이 히데유키 八단167수 흑 불계승



1차전에서는 한국의 이세돌 九단이 중국의 왕시 九단과 일본의 이야마 유타 九단을 상대로 승리했으나, 중국의 셰허 七단에게 패했다. 이후 셰허 七단은 일본의 사카이 히데유키 八단을 꺾고 1차전을 마무리했다.

4. 2. 2차전 (부산)

2차전은 2010년 11월 29일부터 12월 4일까지 부산 농심호텔에서 진행되었다.

대국대국일자장소승자패자결과기보
52010년 11월 29일부산 농심호텔셰허 七단박승화 四단125수 흑 불계승[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open.cyberoro.com/gibo/201011/101129-ns-xie.he.sgf]
62010년 11월 30일셰허 七단하네 나오키 九단178수 백 불계승[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open.cyberoro.com/gibo/201011/101130-ns-xie.he.sgf]
72010년 12월 1일셰허 七단목진석 九단198수 백 불계승[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open.cyberoro.com/gibo/201012/101201-ns-mok.js.sgf]
82010년 12월 2일다카오 신지 九단목진석 九단188수 백 불계승[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open.cyberoro.com/gibo/201012/101201-ns-dakao.sgf]
92010년 12월 3일다카오 신지 九단퉈자시 三단200수 백 불계승[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open.cyberoro.com/gibo/201012/101203-ns-dakao.s.sgf]
102010년 12월 4일최철한 九단다카오 신지 九단263수 흑 1집반승[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open.cyberoro.com/gibo/201012/101204-nongsim-choich.sgf]



5국에서 중국의 셰허 七단이 한국의 박승화 四단을 상대로 125수 만에 흑 불계승을 거두었다.[1] 셰허는 6국에서 일본의 하네 나오키 九단을 상대로 178수 만에 백 불계승, 7국에서 한국의 목진석 九단을 상대로 198수 만에 백 불계승을 거두며 3연승을 달성했다.[1]

8국에서는 일본의 다카오 신지 九단이 한국의 목진석 九단을 상대로 188수 만에 백 불계승을 거두었다.[1] 다카오 신지는 9국에서 중국의 퉈자시 三단을 상대로 200수 만에 백 불계승을 거두며 2연승을 기록했다.[1] 10국에서는 한국의 최철한 九단이 다카오 신지 九단을 상대로 263수 만에 흑 1집반승을 거두었다.[1]

4. 3. 3차전 (상하이)

2011년 1월 18일부터 1월 20일까지 중국 상하이 한국문화원에서 3차전이 진행되었다.

대국대국일자차전장소승자패자결과
112011년 1월 18일3차전중국 상하이 한국문화원저우루이양 五단최철한 九단214수 백 불계승
122011년 1월 19일저우루이양 五단유키 사토시 九단145수 흑 불계승
132011년 1월 20일쿵제 九단저우루이양 五단176수 백 불계승



11국에서 한국의 최철한 九단이 중국 저우루이양 五단에게 패하며 연승이 중단되었고, 12국에서 저우루이양 五단이 일본 유키 사토시 九단에게 패하였다. 13국에서는 중국 쿵제 九단이 저우루이양 五단을 꺾었다.

4. 4. 최종 결과


  • 우승: 대한민국 (7승 3패, 이창호 9단은 출장하지 않음)
  • 준우승: 중국 (4승 5패)
  • 3위: 일본 (2승 5패)




제12회 농심 신라면배 우승팀

대한민국 (10회 우승)


5. 특이 사항

대한민국 대표 이창호 9단은 최종 라운드에 출전하지 않고도 대한민국이 우승을 차지했다.

제12회 농심 신라면배 우승팀


참조

[1] 웹사이트 Go Tournament: Nong Shim Cup Ring Contest http://gogameworld.c[...] gogameworld.com 2011-06-03
[2] 뉴스 한국,12회 농심배 1차전 2승1패 https://www.hankyung[...] 한국경제 2010-1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